arrow

구성원

연구실

나노바이오의약 전달 연구실 (Nano-Biomedicine Delivery Lab)

강미경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656호

전화번호

02-3290-5681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나노바이오의약 전달 연구실은 나노기술을 적용해 보건의료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다양한 나노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치료 백신, 면역세포를 표적으로 삼는 나노입자, 광원 반응성 소재, 생체 내 CAR 세포 유도 의약품 개발 등을 통해 암 및 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실은 유/무기 나노입자 합성, 세포 배양, 분자 생물학적 분석, 면역 분석 및 동물 실험까지 폭넓은 연구를 진행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
  • 면역시스템 조절 나노의약품 개발
  • 생체적합성 세포 모사 바이오의약품 개발
  • 적외선 및 방사선 반응성 나노소재 합성
  • 만성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 유전자 치료제 개발 및 효능 평가

분자진단 및 환경 미생물 연구실

김성욱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655호

전화번호

02-940-2784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분자진단 및 환경미생물 연구실에서는 DNA 증폭을 통해서 유전자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인 분자진단을 통해 다양한 유전적 질환 진단 및 암세포 진단, 혈액형 진단, 병원성 미생물 진단 등을 연구하는 실험실입니다. 이와 동시에 항생제 내성 미생물과 환경을 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미생물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는 실험실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
  • 암·혈액형·유전자 진단 연구
  • 미생물 진단 연구
  • 내열성 효소 연구
  • 기능성 환경 미생물 연구
  • 산전 진단 연구
  • 환경과 질병과의 상관관계 연구

신경손상재활 연구실 (Neurorehabilitation laboratory)

김준선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654호

전화번호

02-940-2805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신경손상재활연구실은 신경계 손상 후 발생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경직, 운동기능 소실과 같은 병리적 현상에 대한 기전과 손상된 신경조직의 재생 기작, 재활의 효과 및 기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신경손상 동물모델을 이용한 행동 및 동작 분석과 그 변화에 따른 신경계 및 근·골격계 변화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해당 질환에 대한 재활의 효과와 그 기전을 밝히는 일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성북구 지역사회 노인 대상 living lab 기반 실증을 통해 지역사회 통합 건강 안전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지속적 돌봄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
  • Neuropathic pain mechanism
  • CNS&PNS Nervous system
  • Osteoarthiritis pai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 Denervation induced-muscle atrophy
  • Human study (재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지능형 IoT 기반의 지역사회 연계 비대면 헬스케어 통합서비스 플랫폼 개발)

생체역학 및 운동재활 실험실 (The Biomechanics and Movement Rehabilitation Laboratory)

김형동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274호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생체역학 및 운동재활 실험실에서는 생체정보측정기기 기반으로 운동 시 척추 및 팔, 다리에서 일어나는 각 관절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각 신체 관절의 움직임 및 관절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을 객관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특수한 빛을 반사하는 마커를 동작이 일어나는 신체 각 관절 및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부착하고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신체 각 분절의 움직임(각도, 속도, 가속도, 관절 모멘트 등)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검사결과를 토대로 척추 및 팔, 다리 운동 기능 등의 각 신체분절의 이상 유무 및 신체 전체의 이상 운동 양상을 분석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
  • 임상생체역학
  • 노인 물리치료
  • 신경 재활
  • 균형, 정형 물리치료

환경위해성연구실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Lab)

문경환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660호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환경위해성평가(Environmental Risk Assessment)는 환경에서 문제되고 있는 위해요소를 확인하고, 규명된 노출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유해영향과 발생확률을 과학적으로 예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유해성확인(Risk Identification), 용량-반응평가(Dose-Response Assessment),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위해도 결정(Risk Characterization)의 일련의 단계를 말합니다. 자체의 독성만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닌 실제 얼마나 인체 혹은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선진화된 학문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
  • 환경 유해성확인
  • 용량-반응평가
  • 위해도 결정

환경과학기술 연구실 (Environmental Science Technology Lab. est 2020)

원승현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665-A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오늘날 인류는 90% 이상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기에, 실내 공기오염에 따른 다양한 건강 문제가 수반되며 인체 건강위해성은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적합한 공기정화 기술 개발의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대기환경융합기술 연구실에서는 1) 다양한 실내공간의 주요 오염원을 평가하고, 2) 그에 따른 융합형 공기오염 저감기술 및 측정기술을 개발하며 3) 최종적으로 “Customized Air Purification”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
  • Air Quality Management
  • Engineering Photocatalytic Air
  • Purification Indoor Air
  • Quality Control Sensing Techniques for Air Pollutants
  • Catalytic Materials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 Top-Notch Environmental Technologies Development

방사선 계측 및 영상화 연구실 (Radiation Meausring and Imaging Laboratory)

이원호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277호

전화번호

02-3290-1114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방사선은 우주 방사선 연구, 공항이나 항만 등의 물품 수색을 통한 국가안전분야, X-ray 및 CT 와 핵의학 등 의학분야, 원자력발전소 등 다양한 분야에 쓰입니다. 방사선 계측 및 영상화 연구실은 이러한 산업 및 임상에서 이용되는 방사선의 선량을 평가하고 핵종의 분석, 선원의 위치를 영상화하는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적으로는 섬광체와 반도체의 핵물리현상을 전자공학을 통해 해석할 수 있는 방사선 영상장비 등을 개발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실제 실험에 근접한 전산모사와 딥러닝을 통한 신호 해석 및 영상화를 하여 방사선의 반응과 영향에 대한 정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
  • 방사선 검출
  • 방사선 영상화
  • 선량 계측
  • 딥러닝

기기분석 독성학 연구실 (Instrumental analysis & Toxicology Lab)

최재윤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266호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환경보건안전, 독성학, 기기 분석, 환경 식품 화장품 생활화학용품 안전성 평가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
  • Environmental Chemical and Drug Metabolism
  • Detoxifications
  • Antioxidants Instrumental Analysis Toxicity Assessment
  • Risk Analysis
  • Risk Management of Household Chemical Products
  • Environmental Chemicals
  • Cosmetics
  • Food.. Safety Assessment
  • Food Safety
  • Cosmetic Safety

ChEEHR Lab (Choi's Environmental Epidemiology and Health Research Lab)

최윤형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658호

전화번호

02-940-2821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ChEEHR 연구실에서는 노인성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한 환경역학 연구 및 노출평가 등 환경보건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유해환경노출, 영양섭취, 생활습관, 운동 등의 생활환경입니다.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유해환경노출을 평가하고, 생활환경이 질환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우리 사회의 건강증진을 위한 바람직한 예방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
  • Environmental Exposure
  • Nutrition
  • Human Health
  • Epidemiology
  • Biostatistics and Big Data
  • Public Health

직업보건환경연구실 (Lab. of occupational Health and Environment)

변상훈 교수

연구실

하나과학관 B동 668호

lab 이미지
연구실 소개

모든 기업체는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에 대한 유해방지를 위해 안전위생관리체제를 기업의 종류와 규모에 상응하게 의무화해야 합니다. 산업보건이란 이와 같은 노동위생문제의 개념을 폭넓게 확대하고 특히 근로자의 건강을 촉진시키고 재해를 예방하거나 쾌적한 근로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보건 위생면에서의 제반서비스입니다. 산업 환경보건 연구실에서는 주로 이러한 산업보건, 특히 화학물질과 관련된 산업보건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
  • 사업장에서의 화학물질 관리 및 규제
  • 화학물질 위험성 평가
  • 작업환경 중 유해물질 농도 측정 및 평가
  • 직업병 등 산업재해 관련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