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ow

학 부

교과과정

목표 및 비전

보건환경융합과학부는 보건, 환경 및 방사선․원자력, 진단 의과학 분야에서 국내는 물론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에서 건강에 잠재적 악영향을 끼치거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위해요소를 평가, 규명하여 질환발생을 사전에 감시, 예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동시에, 원자핵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을 평화적으로 보건, 환경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연구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과 교양을 가지고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 및 비전으로 한다.

핵심교육역량

구분 비율(%) 내용
1. 공통교육 40%
  • 감염안전관리학
  • 공중보건학
  • 기초수리학
  • 방사선과학
  • 방사선보건관리
  • 보건물리학
  • 보건환경독성학
  • 보건환경생화학
  • 보건환경통계
  • 분석화학 및 실험
  • 해부생리학
  • 원자력기초이론
  • 원자력안전규제
  • 전염병 및 백신학
  • 환경보건학
  • 생태계와 건강 등 다양한 보건환경융합 분야의 공통 교과목을 이수함
2. 환경보건안전 전공 30%
  • 공기질 평가 및 실험
  • 대기질 관리
  • 물환경 관리
  • 방사선과 환경
  • 산업보건학
  • 산업안전관리
  • 산업환기
  • 수질오염제어
  • 수질평가 및 실험
  • 식품환경안전 평가 및 실험
  • 실내환경학
  • 위해독성평가 및 실험
  • 위해분석독성학
  • 유해화학물질관리
  • 융합보건청정기술
  • 작업환경관리
  • 작업환경측정 및 실험
  • 환경위해성평가 등 다양한 보건환경융합과학 환경보건안전 세부전공교과목을 이수함
3. 보건의료 전공 30%
  • 동위원소 이용
  • 방사선의 산업 및 의학 응용
  • 방사선 상호작용
  • 방사선 생명과학
  • 방사선 센서
  • 방사선 안전관리학
  • 방사선 안전분석
  • 분자세포생물학
  • 신체방어시스템검사
  • 의료기기시스템
  • 진단검사과학
  • 진단생리학 및 실험
  • 진단화학 및 실험
  • 최신 진단 의학
  • 법의과학
  • 노인보건학
  • 병리학
  • 의학용어
  • 보건의료관계법규 등 다양한 보건환경융합과학 보건의료 세부전공교과목을 이수함

자율교육역량

구분 내용
1. 환경보건 환경보건학, 방사선과 환경, 보건환경생화학, 보건환경통계등 환경보건 영역
2. 생활환경 대기질관리, 실내환경, 물환경관리, 수질오염제어 등 대기 및 수질 영역
3. 산업보건 및 독성 산업보건, 작업환경관리, 보건환경독성, 위해분석독성 등의 산업보건 및 독성 영역
4. 방사선과학 방사선원자력 방호, 방사선 통제, 방사선 정책 및 법규 영역
5. 원자력과학 방사·원자력영상, 방사·원자력계측, 방사·원자력치료 영역
6. 진단의과학 진단생리학, 진단화학, 신체방어시스템검사, 줄기세포치료학 영역

전공트랙

환경영향평가

위해도 평가

arrow
arrow
환경보건
산업보건/안전
방사선/원자력
진단평가
arrow
arrow

안전보건평가

건강영향평가

보건환경융합과학부는 학내 최초로 세부 전공이 인정되는 학부입니다. 전공 필수 과목이 없기 때문에, 학생들은 산업보건, 환경보건, 원자력, 방사선 등 자신이 관심 있는 과목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를 경험한 후 본인의 적성에 맞는 세부 전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세부 전공으로는 보건의료와 환경보건안전이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폭넓고 심도 있는 학문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보건과학대학 세부전공 내규

2015.1.19 제정
<보건과학대학 학사지원부>

구분 내용
제1조 (목적) 이 내규는 보건과학대학의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보건환경융합과학부의 세부전공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정원) 세부전공에는 별도의 정원을 배정하지 않는다.
제3조 (명칭) ①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의 세부전공 명칭은 “바이오의과학”과 “바이오식품영양과학”으로 한다.
②보건환경융합과학부는 세부전공 명칭은 “환경보건안전”과 “보건의료”로 한다.
제4조 (자격)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와 보건환경융합과학부의 심화전공자, 복수전공자, 학사편입자에게 허가한다.
제5조 (횟수) 제4조에 해당하는 자는 1인 1회에 한하여 정해진 기간에 세부전공을 신청 할 수 있으며, 기간내에 신청 하지 않을 경우에는 심화전공자라 하여도 세부전공을 명기 할 수 없다.
제6조 (신청시기) 세부전공 신청은 졸업예정학기 개강시점에 각 학부에 개인별로 신청하여, 학부에서 일괄 처리한다.
제7조 (학점이수) 세부전공을 명기하기 위해서는 세부전공 영역별 교과목을 36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제8조 (전공신청) 심화전공자라도 세부전공을 신청하지 않으면 학부명만 명기되며, 두 개 이상의 세부전공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이수하여도, 한 개의 세부전공만을 신청 할 수 있다.
제9조 (제증명) 세부전공명은 졸업증명서, 졸업예정증명서에 기재한다.
제10조 (기타) 이 내규에서 정하지 않은 기타 요구사항은 학부 내규로 별도로 정할 수 있다.
부칙(시행일) 이 내규는 2016년 8월 졸업자부터 적용한다.

전공과목 목록

이수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시간 개설시기 선수과목
이론 실험(실습) 실기
전공선택
KHES211
보건환경독성학
3
3
0
0
1

환경 오염 물질과 화학 물질이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독성 물질의 노출 경로, 작용 기전, 위해성 평가 및 독성 관리 방안을 다루며 관련 법규와 규제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독성 데이터를 해석하고, 보건과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독성학적 접근을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독성 평가 기술과 사례를 통해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보건 및 환경 관리를 학습합니다.

전공선택
KHES215
환경보건학
3
3
0
0
1

환경 요인이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건강 증진과 환경 보호를 위한 관리 방안을 학습합니다. 대기, 물, 토양 오염 등 주요 환경 문제와 그에 따른 건강 위험 요인을 다루며, 예방 및 대처 전략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환경보건 정책과 규제, 실무 적용 사례를 학습하여 종합적인 환경 및 보건 관리 능력을 배양합니다. 지속 가능한 발전과 공중 보건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건강한 환경 조성을 위한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221
보건환경생화학
3
3
0
0
1

생화학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보건 및 환경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생체분자의 구조와 기능, 생화학적 대사 과정, 그리고 환경 오염 물질의 생체 영향과 해독 메커니즘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보건 및 환경 생화학 데이터를 해석하고, 실험적 접근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생화학 연구와 응용 사례를 통해 보건 및 환경 분야에서의 실질적 활용 역량을 키웁니다.

전공선택
KHES227
방사선과학
3
3
0
0
1

방사선의 기초 원리와 특성을 학습하며, 방사선이 물질과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합니다. 방사선 물리학, 생물학적 효과, 그리고 의료 및 산업 분야에서의 방사선 활용 사례를 다룹니다. 학생들은 방사선 측정 및 분석 기술을 익히고, 방사선 안전 관리와 응용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방사선 과학 연구와 기술 동향을 탐구하며, 방사선 관련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229
보건물리학
3
3
0
0
1

방사선의 물리적 특성과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며, 방사선 안전 관리의 이론과 실무를 학습합니다. 방사선 선량 측정, 방사선 차폐 설계, 그리고 관련 규제와 기준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 구축과 실무 적용 능력을 배양하며, 최신 방사선 기술과 보건 물리학 연구 동향을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방사선 활용 분야에서의 안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231
기초수리학
3
3
0
0
1

수리학의 기본 원리와 개념을 학습하며, 물의 물리적 특성과 유체 역학의 이론을 이해합니다. 수질 관리, 하천 공학, 관수로 설계 등 수리학의 실제 응용 사례를 다룹니다. 학생들은 유체의 흐름과 에너지 분석을 통해 수자원 관리와 설계 능력을 배양하며, 지속 가능한 수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역량을 키웁니다. 최신 수리학 기술과 실습을 통해 실무 적용 능력을 강화합니다.

전공선택
KHES234
공중보건학
3
3
0
0
1

인구 집단의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을 목표로 하는 공중보건의 이론과 실무를 학습합니다. 질병의 역학적 원리, 환경보건, 건강 정책 및 보건 시스템을 다루며, 공중보건의 주요 과제를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보건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공중보건 전략을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글로벌 보건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235
보건자료처리
3
2
0
0
1

보건 분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 분석, 그리고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통계적 기법,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 활용, 그리고 시각화 기법을 다루며 실제 사례를 통해 실무 능력을 배양합니다. 학생들은 보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데이터 기반 보건 정책과 연구를 지원하는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최신 데이터 처리 기술과 응용 사례도 탐구합니다.

전공선택
KHES226
전염병 및 백신학
3
3
0
0
2

전염병의 발생 원인, 전파 경로, 그리고 예방 및 관리 방법을 학습합니다. 병원체의 특성과 면역 반응, 백신 개발의 원리와 최신 기술을 다루며, 전염병 통제 사례를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전염병 예방 전략과 백신 개발의 과정을 이해하고, 공중 보건 및 글로벌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 지식을 배양합니다. 이를 통해 전염병 대응 및 예방 분야에서의 실무적 역량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228
방사선보건관리
3
3
0
0
2

방사선이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방사선 안전 및 보건 관리를 위한 이론과 실무를 학습합니다. 방사선 노출 평가, 방호 기법, 건강 영향 최소화 전략 및 관련 법규를 다룹니다. 학생들은 방사선 사고 대응 및 안전 관리 체계를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최신 방사선 보건 관리 기술과 사례를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방사선 활용 분야에서의 안전성과 건강 보호를 위한 전문성을 키웁니다.

전공선택
KHES232
원자력안전규제
3
3
0
0
2

원자력 시설과 방사선 활용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제 원칙과 법적 근거를 학습합니다. 원자력 안전 관련 국내외 법규, 규제 체계, 그리고 기술적 표준을 다루며, 주요 사례를 통해 실무 적용 능력을 배양합니다.
학생들은 원자력 안전 규제의 이론과 실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안전 관리와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최신 규제 동향과 기술적 도전 과제도 탐구합니다.

전공선택
KHES238
해부생리학 및 실험
3
2
2
0
2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해부학 및 생리학의 기본 원리를 학습합니다. 주요 기관계의 구조와 역할,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다루며, 이를 실험을 통해 심화 학습합니다. 학생들은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과 병리적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배양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 및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실무적 역량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311
분석화학 및 실험
3
2
2
0
1

화학 물질의 정성 및 정량 분석 원리를 학습하고, 다양한 분석 기법을 실험적으로 익힙니다. 분광법, 크로마토그래피, 전기화학적 분석 등 주요 분석 방법의 이론과 실습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실험 데이터를 해석하고 분석 결과를 응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최신 분석 기술과 장비 사용법을 익힙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화학적 문제 해결과 연구 능력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335
감염안전관리학
3
3
0
0
1

감염 예방과 관리의 기본 원리와 실무를 학습하며, 의료 및 산업 환경에서의 감염 위험을 이해합니다. 병원감염, 생물학적 위험 요인, 감염 제어 기법과 관련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감염 관리 체계 설계와 실무 적용 능력을 배양하며, 최신 감염 예방 기술과 사례를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안전한 작업 환경과 공중 보건을 위한 종합적인 관리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전공선택
KHES339
생태계와 건강
3
3
0
0
1

생태계와 인간 건강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환경 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합니다. 생태계 서비스, 오염 물질의 생태적 전이, 기후 변화와 건강 문제 등을 다루며, 관련 관리 및 대처 방안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생태계 기반의 건강 증진 전략을 설계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와 공중 보건의 융합적 접근법을 배양합니다. 최신 연구와 사례를 통해 생태계와 건강의 통합적 이해를 높입니다.

전공선택
KHES345
원자력기초이론
3
3
0
0
1

원자력의 기본 원리와 핵물리학의 기초 개념을 학습하며, 원자력 에너지의 생성과 이용 방법을 이해합니다. 원자핵 구조, 방사성 붕괴, 핵분열과 핵융합 등 주요 이론을 다루고, 원자력 기술의 응용 사례를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원자력 기술의 과학적 기초를 습득하고, 에너지와 환경 문제에 대한 융합적 시각을 기릅니다. 관련 안전 관리와 윤리적 문제도 함께 학습하여 원자력의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을 모색합니다.

전공선택
KHES213
산업보건학
3
3
0
0
1

작업 환경에서의 건강 위험 요인을 이해하고, 근로자의 건강 증진과 안전을 위한 이론과 실무를 학습합니다.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위험 요인의 평가 및 관리 방안을 다루며, 산업보건 관련 법규와 정책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작업 환경에서의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체계적인 접근법을 배양합니다. 최신 산업보건 기술과 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건강 관리 능력을 키우고, 지속 가능한 작업 환경 조성을 위한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206
방사선과 환경
3
3
0
0
2

방사선의 특성과 환경에서의 발생 및 거동을 이해하고, 방사선이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합니다. 방사선 측정 및 평가 기술, 방사선 안전 관리와 관련된 법규 및 기준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방사선에 의한 환경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방사선 관리 기술과 사례를 탐구하며, 방사선과 환경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융합적 접근법을 학습합니다.

전공선택
KHES212
물환경관리
3
3
0
0
2

수질 오염의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고, 물환경 보전을 위한 관리 방안을 학습합니다. 주요 수질 지표, 오염 제어 기술, 관련 법규 및 정책을 탐구하며, 실무 사례를 통해 적용 능력을 배양합니다. 학생들은 물환경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설계하고, 최신 기술과 동향을 통해 실질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웁니다. 물환경 개선 프로젝트를 통해 실습 중심의 학습을 경험합니다.

전공선택
KHES214
위해독성평가 및 실험
3
2
2
0
2

환경 및 화학 물질이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이론과 실험 기술을 학습합니다. 독성 물질의 특성과 작용 기전을 이해하고, 위험성 평가와 안전 기준 설정 방법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독성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최신 독성 평가 기법과 사례를 실습합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위해 관리 및 독성 저감 방안을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웁니다.

전공선택
KHES216
작업환경관리
3
3
0
0
2

작업장에서의 유해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근로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위험 요인의 평가 및 제어 방안을 다루며, 관련 법규와 규제를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작업환경 관리 체계를 설계하고,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기술과 사례를 통해 작업환경의 지속적인 개선과 재해 예방 역량을 키웁니다.

전공선택
KHES218
공기질평가및 실험
3
2
2
0
2

대기 및 실내 공기질을 평가하기 위한 이론과 실험 기술을 학습합니다. 주요 오염 물질의 특성과 측정 방법, 공기질 평가 기준을 다루며, 실험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능력을 배양합니다. 학생들은 공기질 관리 기술과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며, 최신 공기질 평가 기법과 사례를 탐구합니다. 실습 중심의 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공기질 개선 방안을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웁니다.

전공선택
KHES313
실내환경학
3
3
0
0
1

실내 환경의 특성과 공기질, 온습도, 조명, 소음 등의 주요 요인을 학습하며, 쾌적하고 안전한 실내 환경 조성 방안을 탐구합니다. 실내 오염 물질의 원인과 제어 기술, 그리고 관련 규제 및 표준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실내 환경의 진단 및 개선 능력을 배양하며, 최신 실내 환경 관리 기술과 사례를 통해 실무 적용 역량을 키웁니다.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실내 환경 설계 방안도 함께 학습합니다.

전공선택
KHES315
수질오염제어
3
3
0
0
1

수질 오염의 원인과 유형을 이해하고, 오염 물질의 제어 및 처리 기술을 학습합니다.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수처리 공정의 원리와 적용 방법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수질 개선 기술 설계와 실무 적용 능력을 배양하며, 수질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법을 익힙니다. 최신 수질 관리 동향과 실무 사례를 통해 환경 보호의 전문성을 키웁니다.

전공선택
KHES317
대기질관리
3
3
0
0
1

대기 오염의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고, 대기질 개선을 위한 관리 방안을 학습합니다. 대기 오염 물질의 특성과 측정 방법, 관련 법규 및 규제 기준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대기질 관리 체계를 설계하고 정책적, 기술적 접근법을 통해 실무 적용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대기질 관리 기술과 사례를 탐구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를 위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웁니다.

전공선택
KHES337
유해화학물질관리
3
3
0
0
1

유해화학물질의 특성과 관리 방안을 이해하고, 안전한 취급 및 저장 방법을 학습합니다. 관련 법규와 규제 기준을 다루며, 유해물질의 위험성 평가와 사고 대응 전략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유해화학물질 관리 체계 설계와 실무 적용 능력을 배양하고, 최신 관리 기술과 사례를 통해 실질적 문제 해결 역량을 키웁니다. 안전 관리와 환경 보호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융합적 접근 방안을 학습합니다.






전공선택
KHES312
환경위해성 평가
3
3
0
0
2

환경 오염 물질의 노출 경로와 영향을 분석하고, 생태계 및 인간 건강에 대한 위해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위해성 평가의 이론적 기초와 실무 적용 방법을 학습하며, 관련 사례를 통해 실질적 평가 역량을 배양합니다.
학생들은 데이터 해석과 위해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키우고, 환경 위해성 평가의 최신 동향과 국제적 기준을 탐구합니다. 다양한 실습과 프로젝트를 통해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접근법을 익힙니다.

전공선택
KHES314
산업환기
3
3
0
0
2

작업 환경에서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한 산업환기의 이론과 설계 원리를 학습합니다. 국소배기, 전역환기 시스템 설계와 성능 평가 방법을 다루며, 실무 사례를 통해 환기 시스템의 최적화를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작업 환경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산업환기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배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316
위해분석독성학
3
3
0
0
2

화학물질 및 환경 오염 요인이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분석하는 이론과 기법을 학습합니다. 독성 평가, 위해성 분석, 그리고 관련 규제와 안전 기준을 심도 있게 다룹니다. 학생들은 실험적 독성 연구와 데이터 해석을 통해 독성학의 실무적 적용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독성학 연구 동향과 사례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위해 관리 방안을 탐구합니다.

전공선택
KHES413
융합보건청정기술
3
3
0
0
1

보건 및 환경 분야에서의 청정 기술 개발과 융합적 적용 방안을 학습합니다. 공기, 물, 토양 등 환경 매체에서의 오염 제어와 청정화 기술의 원리와 실무를 다룹니다. 학생들은 첨단 청정 기술과 보건 안전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와 건강 증진 방안을 탐구합니다. 최신 기술 동향과 응용 사례를 기반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431
작업환경측정 및 실험
3
2
2
0
1

작업장에서의 유해 요인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이론과 실험 기술을 학습합니다.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의 측정 방법과 장비 사용법을 익히며, 작업 환경 개선 방안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작업 환경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무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작업환경 측정 기술과 사례를 통해 현장 적용력을 높입니다.

전공선택
KHES433
식품환경안전평가 및 실험
3
2
2
0
1

식품과 환경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이론과 실험 기술을 학습합니다. 식품 내 유해물질과 환경 오염 물질의 분석 방법, 안전성 기준 및 관련 규제를 다루며 실질적 적용 사례를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며, 식품 및 환경 안전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합니다. 최신 안전 평가 기술과 사례를 통해 지속 가능한 안전 관리 방안을 설계하는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412
산업안전관리
3
3
0
0
2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와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체계적 접근법을 학습합니다. 주요 안전 관리 이론과 법규, 위험성 평가 방법 및 재해 예방 대책을 다룹니다. 사례 연구와 실무 중심 교육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능력을 배양합니다. 학생들은 안전 관리 전문가로서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문화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춥니다.

전공선택
KHES417
환경및식품위생학
3
3
0
0
1

환경과 식품의 위생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 이론과 실무를 학습합니다. 식품 오염 물질의 원인과 제어, 환경 위생 문제 및 관련 법규를 다루며, 식품과 환경 관리의 최신 동향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위생 관리 체계를 설계하고,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합니다. 이를 통해 식품 안전과 환경 위생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414
수질평가 및 실험
3
2
2
0
2

수질 오염의 특성과 주요 지표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과 실험 기술을 학습합니다.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수질 분석 방법을 다루며, 수질 관리와 개선을 위한 실무적 접근법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수질 평가 능력을 배양하며, 실제 사례를 통해 수질 오염 문제 해결 역량을 키웁니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225
진단화학 및 실험
3
2
2
0
1

임상 진단에 필요한 화학적 분석 원리와 실험 기술을 학습합니다. 주요 생체 물질의 분석법과 진단 장비 활용 방법을 다루며, 진단화학의 최신 기술과 응용 사례를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이론과 실습을 융합하여 실질적인 진단화학 역량을 키웁니다. 이를 통해 의료 및 연구 현장에서의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233
의학용어
3
3
0
0
1

의학 및 보건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의 어원과 기본 개념을 학습합니다. 주요 의학 용어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며, 실제 의료 현장에서의 용어 활용법을 익힙니다. 학생들은 의학 용어의 체계적인 이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고, 의학 지식의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실무에서의 응용력을 높입니다.

전공선택
KHES301
방사선생명과학
3
3
0
0
1

방사선이 생명체에 미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영향을 학습하며, 방사선의 생명과학적 응용을 탐구합니다. DNA 손상과 복구 메커니즘, 방사선 민감성과 내성, 방사선 치료 및 진단 기술의 원리를 다룹니다. 학생들은 방사선 생물학의 기초와 응용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 및 실무 능력을 배양하며, 최신 방사선 생명과학 연구 동향을 학습합니다. 이를 통해 방사선 활용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전공선택
KHES343
건강과장애
3
3
0
0
1

건강과 장애의 개념을 이해하고, 장애의 발생 원인과 예방, 그리고 관리 방안을 학습합니다.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요인과 장애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관련 법률과 정책도 다룹니다. 학생들은 장애의 통합적 접근과 관리 전략을 설계하며, 건강 증진과 사회적 포용을 위한 전문성을 배양합니다. 이를 통해 건강과 장애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역량을 갖춥니다.

전공선택
KHES426
최신진단의과학
3
3
0
0
2

진단 의학의 최신 기술과 발전 동향을 학습하며, 분자 진단, 진단 이미징, 면역 진단 등 다양한 첨단 진단 방법을 탐구합니다. 진단 과학의 원리와 임상적 응용 사례를 다루며, 미래 의학에서의 역할과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학생들은 최신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진단 의과학 분야에서의 실무적 전문성을 함양합니다. 이를 통해 첨단 진단 기술을 활용한 의료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춥니다.

전공선택
KHES435
나노기술과건강
3
3
0
0
1

나노기술이 건강과 의학 분야에서 응용되는 방식을 다룹니다. 나노소재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진단, 치료, 약물 전달 기술을 학습합니다. 나노기술이 의료 혁신과 개인 맞춤형 의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최신 연구 사례를 통해 실무적 이해를 증진합니다.

전공선택
KHES437
조직재생및치료인자
3
3
0
0
1

조직 재생과 관련된 치료 인자의 원리와 응용을 다룹니다. 조직 공학의 기초 개념과 세포, 생체재료, 성장인자 간의 상호작용을 학습합니다. 다양한 치료 인자와 이를 활용한 조직 재생 기술 및 임상 응용 사례를 탐구합니다. 최신 연구를 통해 재생의학의 발전 방향과 가능성을 이해합니다.

24학번 교육과정표

구 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시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 2 1 2 1 2 1 2
교양필수 학문세계의 탐구 GELI005 학문세계의 탐구 I 3(3) 2024학년도 이후 입학한 외국인 학부생은 GEL1007
학문세계의탐구 I (외국인반),
글쓰기(외국인반) 이수
글쓰기 GEWR002 글쓰기 3(3)
Academic English IFLS800 Academic English I 2(2) 신입생 영어능력평가고사 결과
'고급'레벨 취득 학생은 이수 면제
1학년 세미나 GEKS007 [진로·창업] 1학년 세미나 I 1(1)
GEKS008 [진로·창업] 1학년 세미나 II 1(1)
Digital & SW GECT002 [진로·창업] SW프로그래밍의 기초 3(3)
GECT003 [진로·창업] 데이터과학과인공지능 3(3)
BT GEBT001 [진로·창업] 생명과학의세계 3(3)
소계 19
교양선택 교양선택
(기초과학)
LIBS151 일반생물학 및 연습 I 3(3)
LIBS153 일반생물학 실험 I 1(3)
CHEM151, 152 일반화학 및 연습 I, II 6(6)
CHEM153, 154 일반화학실험 I, II 2(6)
PHYS151, 152 일반물리학 및 연습 I, II 6(3)
PHYS161, 162 일반물리학실험 I, II 2(6)
MATH161 미적분학 및 연습 I 3(4)
소계 23
교양총계 42

23학번 교육과정표

구 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시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 2 1 2 1 2 1 2
공통교양 자유정의진리 GELI 001, 002 자유정의진리 I, II 6(6)
글쓰기 GEWR001 글쓰기 2(3)
Academic English IFLS 003, 004 Academic English I, II 2(4)
1학년 세미나 GEKS 005, 006 1학년 세미나 I, II 2(2)
정보적 사고 GECT001 정보적 사고 1(1)
소계 13
핵심교양 세계의문화 3(3) 택 1
역사의 탐구 3(3)
문학과 예술 3(3)
윤리와 사상 3(3)
과학과 기술 3(3) 택 1
정량적 사고 3(3)
소계 6
전공관련교양 LIBS 151 일반생물학 및 연습Ⅰ 3(3)
LIBS 153 일반생물학 실험Ⅰ 1(3)
CHEM 151,152 일반화학 및 연습 I,II 6(8) 일반화학, 일반물리학, 중 1종류의 과목에 대하여 Ⅰ,Ⅱ 과목이수 (실험포함)
CHEM 153,154 일반화학 실험 I,II 2(6)
PHYS 151,152 일반물리학 및 연습 I,II 6(8)
PHYS 161,162 일반물리학 실험 I,II 2(6)
EGRN 151 컴퓨터언어 및 실습 3(4) 2과목 중 택 1
MATH 161 미적분학 및 연습 I 3(4)
소계 15
34
전공 기본전공 필수 0
선택 42 (세부전공자는 공통과목 12학점 이상을 포함하여 반드시 이수해야 함.)
소계 42
심화전공 36
78
졸업요구총 이수학점 130
비고 1)심화전공자에 한하여, 세부전공을 실시하며 전공명은 “환경보건안전” 또는 “보건의료”로 한다.
2)세부전공은 “보건과학대학 세부전공 내규”적용한다. (영역별 36학점)-기본전공에서 공통과목 12학점을 포함하여 이수해야 한다.
3) KHPM414 보건의료관계법규 교과목은 보건정책관리학부에서 개설하는 교과목을 전공선택으로 인정함

요구되는 전공 졸업학점 및 이수 조건 (23학번 기준)

전공 이수학점 기타 졸업요구조건
선수과목 전공필수 전공선택 공인영어 성적(토익기준) 기타 졸업요구 조건
기본전공 - - 42 42 650 인권과 성평등(학년별 1회)
심화전공 - - 78 78 - 인권과 성평등(학년별 1회)
이중전공 - - 42 42 650
복수전공 - - 66 66 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