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연구
보건과학과
학과소개
사회경제수준이 발전할수록 건강한 삶에 대한 요구는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보건의료 정책 및 제도와 건강과학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변화는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 특히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데 있기 때문에 보건과학분야의 연구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될 것입니다. 보건과학에서는 21세기 지식정보 사회, 선진복지사회의 보건의료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우수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전문적 보건과학 지식을 산학의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학문을 지향합니다. 현장과 직접적으로 연계하는 현장중심의 교육, 전문가초청 워크숍 및 토론회, 해외교류, 유관기관과의 공동연구 등을 통하여 현재 보건과학 현장에서 활동하고 계신 분들과 앞으로 활동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고,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보건과학과는 전문적 지도자로서 사회를 주도해 나갈 여러분들의 미래를 위해 힘찬 도약기회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서는 국가와 민족의 건강에 대한 비전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와 교육을 위하여 분단한 노력을 하면서 국민 보건향상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학과주임 인사말
건강은 전통적으로 개인적인 행운으로, 복으로, 운의 결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일어난 사회역학 운동, 그리고 2000년대 초반 세계보건기구에서 활동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위원회(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이후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태어나고, 자라며, 살고, 일하고, 나이드는, 보건의료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든 조건(conditions)”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조건들을 결정하는 모든 공공정책이 건강에 좋은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health in all policies)는 방향으로 말입니다. 우리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려 합니다. “인간이 사회적이면서 동시에 생물학적인 존재인 이상, 사회적 환경과 아무런 상호작용 없이 발현되는 생물학적 과정은 없다”는 것이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정수였다면, 동시에 사회과학은 이렇게 발현된 생물학적 ‘과정’에 관심을 두어야 합니다. 사회적 요인이 질병과 건강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을 넘어, 인체 내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질병과 건강이 발생되는 것인지를 탐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 학과에서는 건강증진, 예방, 치료, 재활의 전 주기를 개입의 대상으로 포괄하는 ‘보건학’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정책, 통계/역학, 보건의료정책, 과학기술정책, 영양 및 환경정책과 같은 다양한 부문에 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문제해결형 보건학 연구 및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며, 그러한 일들을 수행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초학제적 융합 인재를 양성해내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학과주임학과 전공분야
재활과학전공 (Major in Rehabilitation Sciences)
대학원 편성 교과목
학수번호 | 이수구분 | 추가구분1 | 추가구분2 | 교과목명 | 교과목명(영문) | 학점 | 시간 | 전공명 | ||
---|---|---|---|---|---|---|---|---|---|---|
계 | 이론 | 실험(실습) | ||||||||
HEL849 | 전공 | 감각운동계연구 | ADVANCED STUDY OF THE SENSORIMOTOR SYSTEMS IN HEALTH AND DISEASE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853 | 전공 | 고급신경과학 | ADVANCED NEUROSCIENCE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592 | 전공 | 노인학 | GERONTOLOGY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1875 | 전공 | 동작분석및재활기기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OLOGY FOR MOTION ANALYSIS AND REHABILITATION EQUIPMENT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604 | 전공 | 보건정책의이해및물리치료경영 | UNDERSTANDING HEALTH POLICY AND PHYSICAL THERAPY MANAGEMENT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841 | 전공 | 운동과학 | MOVEMENT SCIENCE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603 | 전공 | 운동제어의신경학적기초 | NEUROLOGICAL BASIS OF MOTOR CONTROL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594 | 전공 | 운동조절과학습 | MOTOR CONTROL & LEARNING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845 | 전공 | 의료행정및경영특강 | ADVANCED HEALTH ADMINISTRATION & MANAGEMENT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596 | 전공 | 임상물리치료학특론 | ADVENCED CLINICAL EXAMINATION & INTERVENTION SKILLS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599 | 전공 | 임상의사결정 | CLINICAL DECISION MAKING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840 | 전공 | 임상진단학 | CLINICAL DIAGNOSTICS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597 | 전공 | 재활심리학 | REHABILITATION PSYCHOLOGY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601 | 전공 | 전산생체역학 | COMPUTATIONAL BIOMECHANICS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844 | 전공 | 통증조절 | PAIN CONTROL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851 | 전공 | 통증조절기전 | MECHANISMS IN PAIN PERCEPTION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850 | 전공 | 통증조절특론 | TOPICS ON PAIN MANAGENENT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 ||
HEL570 | 전공 | 임상생체역학 | CLINICAL CONCEPTS IN BIOMECHANICS | 3 | 3 | 3 | 0 | 재활과학전공 |